비타젤리에 대한 창의적인 글쓰기 방법 11가지

아이들 항생제 처방할 경우 꼭 따라오는 유산균…도움될까?

아이들 항생제 처방 시 유산균(프로바이오틱스)이 함께 처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유산균은 어린이 가정에서 크게 소비되는 건강기능식품으로, 우리나라건강기능식품협회의 조사의 말에 따르면 프로바이오틱스 매매 건수는 약 2959만건으로 종합비타민을 앞서고 있다. 30세 이하와 20~40대에서 프로바이오틱스 금액 비중이 각각 23.9%와 22.6%로 높게 나타났습니다. 병원에서는 세균 감염이 의심될 때 항생제와 같이 유산균을 정장제로 사용되는 때가 대다수인데, 항생제는 장내 미생물을 가리지 않고 공격해 조화를 깨트리고 설사를 생성하므로 유산균을 투입해 이를 진정시키려는 목적입니다.

2013년 코크란 문헌 고찰의 말을 빌리면, 16세 미만 소아·청소년을 타겟으로 한 33편의 임상시험을 종합한 결과, 유산균을 먹은 경우는 비타젤리 먹지 않은 경우보다 항생제 관련 설사가 57% 더 줄었습니다. 상당한 부작용은 없었으며, 70억마리 이상의 고농도 유산균이 설사 예방에 효과가 있었습니다. 다만 파악관계가 없는 8편의 임상시험 결과에서는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효능이 관찰되지 않았습니다. 메타해석 전공가인 명승권 교수는 "결과적으로 유산균이 어린이에서 항생제 관련 설사를 떨어뜨리는지에 대한 임상적 근거는 불충분하다"며 "유산균을 권장할 수 없다"고 했습니다.

image

항생제 관련 설사는 복용자 20명 중 3명 정도에서 발견되며, 변이 약간 묽어지거나 하루 2~9회 설사하는 정도라면 별도 치료 없이 수분 섭취만으로 충분합니다. 저런 증상은 항생제를 끊으면 회복되지만, 하루 2회 이상 설사하거나 탈수·구토 등이 동반되면 병원을 찾아야 합니다. 어떤 종류의 유산균을, 어찌나 먹었을 때 효능이 최대로 좋은지는 아직 엄연히 밝혀지지 않았으며, 의학적인 목표로 약처럼 사용하는 것이 도움이 되는지 역시 불명확합니다. 전문가들은 바이러스 질병에는 항생제가 도움이 되지 않으므로 쓸모 없는 사용을 낮춰야 끝낸다고 조언합니다.